문제
옛날 옛적에, N개의 양의 정수를 가지는 수열 A가 있었다. 당신은 수열 자체를 알지는 못하지만 수열의 두 요소의 합은 알 수 있다. 수열 A를 찾아라!
입력
첫째 줄에 양의 정수 N이 주어진다. (3<=N <=1000 ) N개의 줄에 N개의 양의 정수가 TABLE S로 주어진다. 각 정수들은 100000 이하이다. TABLE S[i,j] 는 A[i] +A[j] 의 관계가 있다. (i 는 j와 같지 않을 경우에만 해당하고, 만약 i 와 j가 같다면 S[i,j] = 0 이다.) S[i , j]는 테이블에서 i번째 row와 j번째 column을 의미한다. 그리고 A[i] 는 수열 A의 i번째 요소를 의미한다. 어떤 입력 값에 대해서 양의 정수 수열 A는 단 하나 뿐임이 보장된다.
출력
첫째줄에 수열 A를 출력한다. (N개의 양의 정수를 공백을 가지고 출력한다.)
예제 입력
4
0 3 6 7
3 0 5 6
6 5 0 9
7 6 9 0
예제 출력
2 1 4 5
출처
COCI 2012/2013 Contest #6 2번
힌트
즉 S의 2행 3열(예제에서는 5)이 의미하는 바는 A[2] + A[3] (예제에서는 1+4) 이다.
<코드>
#include<stdio.h>
int n;
int seq[1002][1002];
int a[1000];
int main(){
scanf("%d",&n);
for(int i=1; i<=n; i++){
for(int j=1; j<=n; j++){
scanf("%d",&seq[i][j]);
}
}
a[1] = (seq[1][2] + seq[1][3] - seq[2][3])/2;
for(int i=2; i<=n; i++){
a[i] = seq[1][i] - a[1];
}
for(int i=1; i<=n; i++){
printf("%d ", a[i]);
}
return 0;
}
a[1]을 구하는 것이 핵심인데,
a[1] = (seq[1][2] + seq[1][3] - seq[2][3])/2;
문제를 보는 눈을 키워야 할거 같다.....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lgorithm] combinationpascal (0) | 2019.01.30 |
---|---|
[Algorithm] 순열과 조합 (0) | 2019.01.29 |
[Algorithm] 런타임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 (0) | 2019.01.28 |
[Algorithm] PROSJEK (0) | 2019.01.28 |
[Algorithm] 재귀함수 (0) | 2019.01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