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라클 실습 (190610)
13번의 경우 VARCHAR2 같은 경우 13번은 있는 그대로 비교한다. 그러므로 결과가 출력되지 않음
14번의 경우 VARCHAR2 와 CHAR 비교시 VARCHAR2가 이김 -> 데이터가 조회되지 않음
15번의 경우 데이터 조회 가능
1번의 경우 조회 가능
2번의 경우 조회 불가능 SUBSTR의 결과가 VARCHAR2 타입이라서 조회가 되지 않는다.
3번의 경우 결과가 조회돼!
-- 참고 --
SAL > '2000'; 이렇게 하면 문자가 숫자로 바뀐다. (DBMS는 숫자를 선호)
SAL LIKE '2%' 이건 안된다., 문자가 숫자로 바뀌지 않는다. 숫자가 문자로 바뀌게 돼
38자리까지 가능하고 가변길이 - > NUMBER
오라클 같은 경우 TAX 같은 경우 실수형임
DEFAULT 18 -> 인서트 할 때 아무것도 넣지 않으면 18살이 입력 돼!
NUM 은 뭐임 ? 실수, 정수 모두 가능하다. 좋은 방식이 아니다
6번의 경우 123.5가 반올림되어 적용돼
8번의 경우 에러
정수 범위 초과할 시 에러 / 실수 범우 초과할 시 ROUND 처리!
9번의 경우 - 반올림
데이터의 특성에 맞는 적정한 자릿수를 설정해야 한다
Date는
1. 숫자와 동일하게 저장되어 연산이 가능하다.
2. 쓰레기 데이터를 줄일 수 있다 '20190533'
MODIFY 를 통해 컬럼의 길이를 늘릴 수 있음
7번
CTAS -> CREATE TABLE AS SELECT
CVAS -> CREATE VIEW AS SELECT
TRUNCATE는 테이블의 구조는 남겨둔다
DROP, TRUNCATE 는 ROLLBACK이 되지 않는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