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세퍼스 문제
시간 제한 | 메모리 제한 | 제출 | 정답 | 맞은 사람 | 정답 비율 |
---|---|---|---|---|---|
2 초 | 256 MB | 15647 | 7867 | 5925 | 51.928% |
문제
조세퍼스 문제는 다음과 같다.
1번부터 N번까지 N명의 사람이 원을 이루면서 앉아있고, 양의 정수 M(≤ N)이 주어진다. 이제 순서대로 M번째 사람을 제거한다. 한 사람이 제거되면 남은 사람들로 이루어진 원을 따라 이 과정을 계속해 나간다. 이 과정은 N명의 사람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. 원에서 사람들이 제거되는 순서를 (N, M)-조세퍼스 순열이라고 한다. 예를 들어 (7, 3)-조세퍼스 순열은 <3, 6, 2, 7, 5, 1, 4>이다.
N과 M이 주어지면 (N,M)-조세퍼스 순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N과 M이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. (1 ≤ M ≤ N ≤ 5,000)
출력
예제와 같이 조세퍼스 순열을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
7 3
예제 출력 1
<3, 6, 2, 7, 5, 1, 4>
출처
- 문제를 만든 사람: author5
이 문제에서 알고리즘 전략을 분석하며 가장 큰 발견은 두 가지였다.
전체 숫자의 크기가 계속 변하기 때문에 배열보다는 STL 벡터를 사용하는 것이고,
제어 변수를 나누어 줄 경우 그 값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또 다른 제어 변수를 추가하는 것이다.
나머지 연산은 이런 문제 유형을 풀 때 자주 쓰인다는 것은 숙지하고 반복해서 학습하자!!
#include<iostream>
#include<vector>
using namespace std;
vector<int> josep;
int n,m,inx;
int main(){
scanf("%d %d",&n,&m);
for(int i=1; i<=n; i++){
josep.push_back(i);
}
inx = 1;
while(josep.size()){
// 위치를 찾고 erase하는 vector stl을 사용할 것임.
inx = (inx + m - 1) % josep.size();
printf("%d ",josep[inx]);
josep.erase(josep.begin()+inx);
}
return 0;
}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lgorithm] 순열 분석 (0) | 2019.02.12 |
---|---|
[BOJ 1242] 소풍 (0) | 2019.02.11 |
[Algorithm] 순열 (0) | 2019.02.10 |
[BOJ] 2677 단지번호붙이기 (0) | 2019.02.09 |
[Algorithm] 프랙탈 수 (0) | 2019.0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