물품매매계약
매도인(seller) <------> 매수인(buyer)
goods
1. 낙성계약 (=합의계약) seller와 buyer간의 합의로 이루어졌다라고 해서 합의계약 이라고도 함
청약 <-> 승낙 ( = '100% 너의 의견에 동의한다' 라는 의미임 )
청약에 대한 승낙으로 이루어지는 계약을 낙성 계약이라 합니다.
<-> 요물계약 (반대되는 개념) : 요구할 요, 물건 물 ('요구하는 물건을 가져가면 돈을 주겠다' 개념)
2. 쌍무계약 (무 : 의무)
seller : 물품 인도의 의무를 가집니다 / buyer : 대금을 지급해야 하는 의무, 인수의 의무를 가집니다.
서로 서로 의무를 가진다고 해서 쌍무 계약이라 합니다.
<-> 편무계약 (반대되는 개념) : 한쪽에서만 의무가 있는 계약 (ex 증여, 상속)
3. 유상계약
금전적인 가치가 교환하는 계약을 유상계약이라 합니다.
<-> 무상계약 (반대되는 개념)
4. 불요식계약 (아닐 불, 요구할 요, 형식 식) : 요구되는 형식이 없는 계약
계약을 체결 해 ? 그럼 계약서 써야지 ! 라고 생각하지만 무역 계약은 불요식 계약이다.
요구되는 양식이 없는 낙성 계약이다. 구두를 통한 합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.
<-> 요식계약 (반대되는 개념)
※ 무역 계약의 주요 성격
1. 합의계약 : 매도인의 offer (=청약) 과 매수인의 acceptance (=승낙) 으로 이루어지는 계약
(= 낙성계약) <-> 요물계약
2. 쌍무계약 : 매도인은 인도, 매수인은 대금지급 (서로 의무를 가짐)
<-> 편무계약
3. 유상계약
<-> 무상계약
4. 불요식계약
※ tips
- 청약 (=offer)
매도인이 하는 청약을 매도청약 (=selling offer) / 매수인이 하는 청약을 매수청약 (=buying order)
매도청약 : offer sheet (청약서) : 물품매도확약서
proforma invoice (견적송장) : seller가 buyer에게 제시하는 조건들..
매수청약 : order sheet (주문서)
purchase order (구매주문서)
매도청약이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청약이라 생각하면 됩니다.
22p
- 약식계약서 <-> 정식계약서
offer sheet (=물품매도확약서)
페이퍼의 제일 하단에 seller, buyer가 서명하는란이 있습니다.
이것을 계약서라 합니다.
매도인 or 매수인이 약식계약서를 두 장을 작성함.
매도인이 작성했다면 그는 서명을 한 후 그 종이를 매수인에게 전달함. (낙성계약)
계약서의 내용이 조금 부족해요 그래서 약식계약서라 한다. ??
※ 정리
- 무역계약의 특성
1. 계약은 구두로 하더라도 성립되며 반드시 문서로 작성할 필요는 없다.
-> 불요식계약
2. 약식계약서도 매매계약의 증빙서류가 된다 (o)
'은행실무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0.10.20] 외환전문역 2종_거래조건 (2) (0) | 2020.10.20 |
---|---|
[2020.10.20] 외환전문역 2종_거래조건 (0) | 2020.10.20 |
[2020.10.14] 외환전문역 2종_계약의 방식(신용장,추심 등) (0) | 2020.10.14 |
[2020.10.13] 외환전문역 2종_무역과 수출입거래의 정의 (0) | 2020.10.13 |
[온라인 2차평가] 여신 (1) | 2020.08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