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품질조건
1. 품질결정의 기준
2. 품질결정의 방법
- 검사매매 : 검사에 의해 품질이 일치한다 / 불일치한다 -> 이것을 판단하는 것 (검사의 결과를 기준)
-> 검사증명서를 수입상이 요구를 함.
-> 상업송장(물품명세서) - 검사자 or 검사기관이 서명을 함.
- 견본매매 : 견본을 기준으로 물품을 인수했을 때 수입상이 비교를 해봄
- 표준품매매 : 농산물, 수산물, 임산물 등이 표준품매매를 사용함. 견본으로 제시하기가 힘들다.
- 상표매매 : 브랜드 매매 : 상표를 품질결정의 기준으로 보겠다.
- 명세서매매 : 설명매매
공산품인 경우 선적품질조건 (=수송 도중에 발생되는 문제에 대해서 수출상의 책임은 없다)
일차상품(변질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) 일 경 우 양륙품질조건 (=농산물, 광산물)
bulk cargo : 산적화물 (=살화물) : 운송화물에 적재 바로 운송하는 것
수출국가에서 1000mt 이 싣게 되면 도착지에서 1000mt 유지가 되었을까?
transit time (T time) : bulk cargo 같은 경우 중량의 감량이 발생할 수 있다.
과부족용인 : More or Less Clause : M/L 조항 : MOL
어느 정도 부족한 부분은 용인한다. Bulk cargo는 이게 가능함.
신용장통일규칙 UCP 600
M/L +- 5% 을 쓰기 위해서의 전제조건
1. 과부족을 금지한다는 조항이 없어야 함.
2. Bulk Cargo 이어야만 함. (개개품목, 개별품목이면 안돼,)
3. 환어음의 발행금액의 총액이 신용장금액(=개설은행이 지급해주겠다고 한 금액)을 초과하면 안된다.
가격조건 : price
unit price 단가
currency 통화의 단위, 화폐의 단위
금액 = 원가 + 이윤 + 부대비용(보험, 통관 등)
인코텀즈라는 규칙이 있음.
인코텀즈란? 인도(delivery) 와 관련된 규칙
seller -> buyer 인도 장소가 어디냐에 따라 부대비용은 극과극이다.
'은행실무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0.10.20] 외환전문역 2종_Incoterms (0) | 2020.10.20 |
---|---|
[2020.10.20] 외환전문역 2종_거래조건 (2) (0) | 2020.10.20 |
[2020.10.15] 외환전문역 2종_매매계약 (0) | 2020.10.15 |
[2020.10.14] 외환전문역 2종_계약의 방식(신용장,추심 등) (0) | 2020.10.14 |
[2020.10.13] 외환전문역 2종_무역과 수출입거래의 정의 (0) | 2020.10.13 |